면접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발표공포증도 성격의 단점이죠?
자주 듣는 성격 단점에 이야기해도 되겠죠? 공포증이란 말은 안쓰고 순화해서 쓸거에요
2025.01.10
답변 10
함께 읽은 질문
Q. 일자리 박람회에서 어떤 내용을 상담하나요?
다음주에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에 가볼려고 합니다. 참가기업 종류에는 상담 / 상담+면접 두 종류인데, 제가 관심있는 회사들은 다 상담만 표시되어 있어요. 회사별로 이력서와 자소서는 준비해가려고 합니다. 근데 상담할때는 어떤 내용을 상담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상담이라고만 적혀있지만 면접까지 준비해서 가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보통 일자리 박람회에서 상담한다고 하면 어떤 내용을 상담하나요? 추가로 더 준비해가야 하는게 있으면 뭐를 준비해가면 좋을까요?
Q. 인턴 경험 없는데, 계약직이라도 해보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중국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취준생입니다. 거의 2년이 되어가고 있네요.. 연수나 여러 활동 경험은 좀 있지만 인턴경험이라곤 중국에서 1달 인턴경험밖에 없습니다. 경험이 없는거나 마찬가지겠죠 ㅜ... 자격증이라곤 컴활2급, HSK6, opic IH이 있는데 오픽 시험을 다시 볼 예정입니다. 토익시험 점수도 없어서 한두달뒤에야 겨우 시험을 볼 수 있을 거 같아요 최근 대기업 1년 계약직에서 일할 기회가 생겼는데, 자격증을 좀 더 빨리 따고 정규직을 준비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계약직 일하며 자격증 준비하고, 정규직 하는게 나을까요...?
Q. 바이오, 케미컬 의약품 전망
안녕하세요 제약바이오 산업 분석연구를 희망하는 취준생입니다. 요즘 제약과 바이오 중 고민이 듭니다. 요즘 전통케미컬의약품 기업들도 바이오의약품연구에 발을 들이는 것 같아, 추후 30년 동안 더 성장할 분야가 바이오인 것 같아 처음부터 바이오 분야로 취업을 하는 게 맞는지 고민입니다. 또한 현재 바이오의약품 연구는 바이오시밀러 또는 CDMO으로만 진행 중인 것 같은데, 바이오의약품의 신약개발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